뉴스

한국 러닝 붐, 안전은 뒤처져…마라톤 대회 13배 급증에도 ‘권고’ 수준 규정만

|

국내 러닝 인구 1천만 명 시대를 맞아 마라톤 대회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안전관리 체계는 이를 따라잡지 못하며 사고가 급증하고 있다. 정부가 뒤늦게 규제 강화에 나섰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박정하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한국에서 개최된 마라톤 대회는 254회로, 코로나19 팬데믹 직후인 2020년(19회)과 비교해 13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참가자 수는 9,300명에서 100만 명 이상으로 108배 급증했다.

대회 규모도 커졌다. 2020년부터 올해 9월까지 열린 전체 대회 중 63%가 참가자 1,000명 이상의 대규모 행사였다.

하지만 안전사고도 동반 상승했다. 같은 기간 총 179건의 사고가 보고됐으며, 이중 40%인 63건이 지난해에만 집중됐다.

주무 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는 마라톤 대회의 안전관리 대처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체부가 박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현행 국민체육진흥법 시행령은 1,000명 이상이 참여하는 체육행사 주최자에게 안전관리계획 수립을 의무화하고 있지만, 이를 제출하거나 이행하지 않아도 처벌 규정이 없다.

문체부는 국민체육진흥법 개정을 통해 체육행사 안전관리 주체를 지방자치단체로 확대하고, 안전관리 미이행 시 제재 조항을 신설할 방침이다.

개정안은 올해 안에 국회에 제출될 예정이다.

러닝마라톤 대회문화체육관광부안전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