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뉴스

AI가 길을 찾아주는 세상에서 달리기

|

(c)Strava

어떤 사람들은 자전거를 타고, 어떤 사람들은 달린다. 그리고 어떤 사람들은 그 모든 것을 기록한다. 스트라바(Strava)라는 회사가 있다. 이 회사는 사람들이 움직이는 것을 좋아한다. 아니, 정확히 말하면 사람들이 움직이는 것을 기록하고, 공유하고, 경쟁하는 것을 좋아한다.

2025년 5월 22일, 스트라바는 또 다른 회사를 삼켰다. ‘더 브레이크어웨이(The Breakaway)’라는 이름의 사이클링 앱이었다. 마치 큰 물고기가 작은 물고기를 삼키는 것처럼 자연스럽게. 하지만 이 경우에는 큰 물고기와 작은 물고기가 같은 바다에서 헤엄치고 있었다는 점이 흥미롭다. 더 브레이크어웨이의 창업자들은 원래 스트라바 출신이었으니까.

조던 코버트와 카일 유가와. 이 두 사람은 세계적인 액셀러레이터 와이콤비네이터(Y Combinator)를 거쳐 자신들만의 사이클링 앱을 만들었다. AI가 당신의 페달링을 분석하고, 당신이 얼마나 강해졌는지 말해주는 그런 앱. 8단계의 경쟁 레벨이 있고, 개인 기록을 갱신할 때마다 알림이 뜨는, 게임 같기도 하고 운동 같기도 한 그런 것.

재미있는 것은 이 앱을 쓰는 사람들이 일반 스트라바 사용자보다 두 배나 많이 활동한다는 점이다. 뭔가 중독성이 있다는 뜻이다. 좋은 의미로든 나쁜 의미로든. 스트라바는 이들을 1,500만 달러에서 2,500만 달러 사이의 어떤 금액으로 다시 집으로 데려왔다. 정확한 액수는 공개하지 않았다. 어쨌든 돈의 액수보다 중요한 것은 이것이 단순한 인수가 아니라는 점이다.

스트라바의 기업가치는 이제 22억 달러다. 3조 원 정도. 사람들이 달리고 자전거 타는 것을 기록하는 앱이 3조 원이라니. 뭔가 기이하면서도 당연해 보인다. 현대인들은 자신의 몸을 움직이는 것조차 데이터로 만들어야 직성이 풀리니까.

CEO 마이클 마틴은 말한다. “사이클리스트는 스트라바의 핵심 커뮤니티다.” 그렇다. 사이클리스트들은 특별하다. 그들은 자신의 페달링 파워를 와트로 측정하고, 심박수 구간을 나누고, 케이던스를 분석한다. 달리는 사람들보다 훨씬 더 과학적이고 강박적이다.

스트라바는 이제 AI를 앞세운다. 1억 5천만 명의 사용자가 만들어낸 데이터를 바탕으로 길을 추천해준다. 당신이 어디에 있든, AI가 가장 인기 있는 코스를 찾아준다. 여름이 되면 더 똑똑해진다. 점 A에서 점 B로 가는 길을 만들어주고, 중요한 지점들을 알려주고, 다른 사람들이 찍은 사진까지 보여준다.

‘Athlete Intelligence’라는 기능도 있다. 대규모 언어모델이 당신의 운동을 분석해서 조언을 해준다. 마치 개인 코치 같은 것. 아니, 개인 코치보다 더 정확할지도 모른다. 적어도 감정적이지는 않으니까.

스트라바는 더 이상 단순한 소셜 피트니스 앱이 아니다. 종합 트레이닝 솔루션이 되고 있다. 러닝 앱 ‘Runna’를 인수한 것에 이어 이번에는 사이클링 앱까지. 각각의 운동에 특화된 전문성을 흡수하면서 거대해지고 있다. 애플, 구글, 나이키 같은 거대 기업들과 경쟁하려면 이런 식으로 움직여야 한다. 모든 것을 직접 만들 수는 없으니까. 이미 잘 만들어진 것들을 사서 연결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더 브레이크어웨이는 독립 앱으로 남아있을 예정이다. 점진적으로 통합될 것이지만, 급하게 하지는 않는다는 뜻이다. 현명한 판단이다. 좋은 것을 너무 빨리 바꾸면 망가지기 쉽다.

실제로 더 브레이크어웨이 사용자들은 이미 스트라바와 친숙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이 앱은 처음부터 스트라바, Zwift, Peloton 같은 플랫폼들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설계되었다. 사용자들이 스트라바에 업로드한 라이딩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석하고, 개인 기록을 갱신할 때마다 즉각 알려주는 식으로.

어떤 사용자는 이렇게 말했다. “브레이크어웨이가 내 모든 활동의 홈베이스가 됐다.” 또 다른 사용자는 “여러 플랫폼 데이터를 한눈에 모아 분석해주니 효율적”이라고 평가했다. 사람들은 분산된 자신의 디지털 흔적들이 하나의 서사로 엮이는 것을 좋아한다.

물론 걱정하는 목소리도 있다. “브레이크어웨이만의 특별한 기능들이 거대한 스트라바에 흡수되면서 희석되지 않을까?” 하지만 이런 우려는 대부분 기우일 것이다. 스트라바가 약속한 것처럼 독립성을 유지하고 점진적으로 통합한다면 말이다.

더 브레이크어웨이의 창업자는 한때 이런 말을 했다. “기존의 행동을 바꾸기보다는 사용자가 이미 하고 있는 활동을 더 잘할 수 있게 돕는 것.” 현명한 철학이다. 사람들을 바꾸려 하지 말고, 사람들이 원하는 것을 더 잘 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 스트라바와의 시너지가 기대되는 이유다.

결국 이 모든 것은 사람들이 움직이고 싶어한다는 단순한 사실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그 움직임을 기록하고, 공유하고, 비교하고 싶어한다는 욕망에서. 스트라바는 그 욕망을 정확히 읽었다.

AI가 길을 찾아주고, 성과를 분석해주고, 조언까지 해주는 세상. 어쩌면 우리는 더 이상 혼자 달리지 않는다. 언제나 누군가가, 아니 무언가가 지켜보고 있다. 격려하고 있다. 때로는 채찍질도 한다.

그것이 좋은 일인지 나쁜 일인지는 모르겠다. 다만 분명한 것은 이것이 우리 시대의 운동 방식이라는 점이다. 데이터와 함께 움직이는 시대. 혼자서도 연결되어 있는 시대.

스트라바의 공식 발표문은 이렇게 끝난다. “더 브레이크어웨이의 인수는 스트라바의 성장, 혁신, 그리고 개발자 커뮤니티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 의지를 보여주는 신호다.”

신호. 그렇다. 모든 것이 신호다. 우리가 달리는 것도, 기록하는 것도, 공유하는 것도. 우리가 살아있다는 신호.

러닝러닝앱브레이크어웨이사이클앱스트라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