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터

“서브3, 스플릿 그게 뭔데?” 초보자를 위한 마라톤, 러닝 용어 가이드

|

마라톤은 수많은 사람들에게 도전과 성취의 상징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마라톤을 처음 접하는 이들에게 낯선 용어들은 장벽처럼 느껴지곤 한다. ‘스플릿 타임’, ‘서브3’ 같은 전문 용어는 물론이고 줄임말들이 그렇다. 이 장벽을 허물어주면, 초보자들도 마라톤이라는 세계에 조금 더 가까워질 수 있다. 마라톤의 여러 용어들을 설명하며, 그 의미를 쉽게 전해보려 한다.

기록 관련 용어: 도전과 성취의 기준

    마라톤에서는 완주 시간에 따라 목표를 설정한다. ‘서브3’, ‘서브4’, ‘서브5’. 서브3는 마라톤을 3시간 이내에 완주한다는 뜻으로, 러너에게는 커다란 성취다. 반면, ‘PB’ 혹은 ‘PR’은 Personal Best나 Personal Record를 뜻하는데, 자신이 세운 최고 기록을 의미한다. 기록을 갱신한다는 것은 어제의 자신을 이겨낸다는 의미다. ‘스플릿’은 구간별 기록을 말하며, 페이스 관리에 중요한 지표가 된다. ‘네거티브 스플릿’은 후반부에 더 빠르게 달리는 전략으로, 처음엔 에너지를 아껴 후반에 몰아붙이는 것이다. 반면, ‘포지티브 스플릿’은 시작부터 전력을 다하는 전략이다. ‘이븐 스플릿’은 전후반을 비슷한 속도로 유지하는 안정적인 방식이다. ‘로킬(Local Kill)’은 지역 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며, ‘DNF (Did Not Finish)’는 완주하지 못한 경우를 말한다.

    페이스 관련 용어: 속도의 리듬을 이해하다

      달리기의 속도를 나타내는 용어도 있다. ‘이브닝 페이스’는 친구와 함께 달릴 수 있는 편안한 속도다. 대화를 나누며 달리는 이 페이스는 러닝의 여유를 즐기기에 좋다. 반면 ‘레이스 페이스’는 대회에서 목표로 하는 속도로, 긴장과 기대가 함께한다. ‘음페’는 음료를 섭취하면서도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는 기술이다. ‘킬로페이스’는 1km를 달리는 데 걸리는 시간을 뜻하며, ‘5분대’, ‘6분대’는 1km를 각각 5분대, 6분대에 달리는 속도를 의미한다.

      훈련 관련 용어: 체력과 정신을 끌어올리기

        훈련의 기본 개념 중 하나는 ‘LSD’. ‘Long Slow Distance’의 약자로 천천히 오래 달리며 지구력을 기르는 방식이다. ‘인터벌’ 훈련은 고강도와 저강도를 번갈아가며 달리는 방식으로 심폐지구력을 높인다. ‘빌드업’ 훈련은 점차 페이스를 높여가는 방법으로, 체력과 정신을 단계적으로 끌어올린다. ‘템포런’은 레이스 페이스보다 빠른 속도로 달리는 훈련이며, 몸을 레이스 상황에 적응시키기 위함이다. ‘언덕 훈련’은 경사진 언덕을 오르며 힘과 지구력을 기르는 방법이고, ‘페이서’는 목표 기록을 달성하기 위해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며 이끄는 러너를 말한다. ‘서브3 페이스’와 ‘서브4 페이스’는 각각 km당 4분 15초, 5분 40초의 페이스를 유지해야 한다. ‘퀄파’는 특정 대회 참가 자격을 얻기 위한 목표 페이스를 뜻한다.

        컨디션과 상태: 러너가 마주하는 순간들

          마라톤을 하다 보면 다양한 상태를 마주하게 된다. ‘히트’는 더위로 인한 체력 저하를 말한다. 특히 여름철 마라톤에서는 체온 관리가 필수적이다. 반면, 달리기 중 갑자기 에너지가 넘치는 순간을 ‘세컨드 윈드’라고 부른다. 마치 새로운 생명이 불어넣어진 듯, 숨이 트이고 달리기가 쉬워지는 느낌이다. 또 ‘러너스 하이’는 달리면서 찾아오는 황홀감으로, 고통을 넘어서 순수한 즐거움만 남는 순간을 말한다. ‘본능샷’은 갑작스런 체력 고갈을 의미하며, 러너가 맞닥뜨려야 하는 불청객 같은 순간이다.

          장비 관련 용어: 달리기를 도와주는 도구들

            마라톤을 위한 장비들도 있다. ‘제로드롭’은 신발 앞굽과 뒷굽의 차이가 없는 상태로, 발이 자연스러움을 느낄 수 있도록 돕는다. ‘드롭’은 신발의 뒷굽과 앞굽의 높이 차이로, 착지의 느낌을 조절한다. ‘게이터’는 신발 안으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막아주는 장비다. 자연을 달리다 보면 흙과 모래는 언제나 우리 발을 노린다.

            대회 관련 용어: 마라톤의 목표와 준비

              마라톤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선 ‘패킹’이 필수다. 대회 전날 필요한 물품들을 챙기는 것을 말하며, 준비된 자만이 완주의 기쁨을 누릴 수 있다. ‘BQ’는 보스턴 마라톤에 참가하기 위한 자격 기록으로, 많은 러너들이 꿈꾸는 목표다. 대회 도중에는 ‘컷오프’라는 제한 시간 내에 통과해야 하는 지점도 있다. 이를 넘지 못하면 완주가 허락되지 않는다. ‘완주증’은 완주를 증명하는 메달이나 증명서를 말하며, ‘건백’은 건강하게 100번의 마라톤을 완주한 사람을 의미한다.

              거리와 구간: 마라톤의 각 단계

                마라톤의 풀코스는 42.195km. 인간의 한계를 시험하는 거리다. ‘하프코스’는 풀코스의 절반인 21.0975km이며, ‘울트라 마라톤’은 50km, 100km 이상의 극한의 도전을 의미한다. ’35K 지점’은 마라톤에서 ‘벽’으로 불리는 구간으로, 체력적으로 가장 힘든 지점이다.

                러너 레벨 관련 용어: 다양한 러너의 모습

                  러너의 수준도 여러 단계가 있다. ‘엘리트 러너’는 상위 기록을 가진 선수를, ‘엘리트’는 프로 마라톤 선수를 뜻한다. ‘마스터즈’는 아마추어나 동호인 러너를 지칭하며, 경쟁보다는 즐거움을 추구하는 이들이다. ‘서브쓰리러’는 서브3를 달성한 러너, ‘완주러’는 기록보다 완주에 중점을 두는 러너다. ‘첫풀러’는 첫 풀코스에 도전하는 러너를, ‘고수러’는 숙련된 러너를 의미한다. ‘페이스메이커’는 목표 기록 달성을 돕기 위해 일정한 페이스로 달리는 러너다.

                  기타 용어

                    ‘워밍업’은 운동 전 준비 운동으로, 본격적인 달리기를 준비하는 과정이다. ‘쿨링다운’은 운동 후 몸을 서서히 식히며 회복을 돕는 마무리 운동이다. ‘러너스 하이’는 고통을 넘어선 순간에 찾아오는 도취감으로, 달리기의 순수한 기쁨을 느끼게 해준다.

                    마라톤 용어 종합 정리표

                    1. 기록 관련 용어

                    용어설명
                    서브3마라톤을 3시간 이내에 완주
                    서브4마라톤을 4시간 이내에 완주
                    서브5마라톤을 5시간 이내에 완주
                    PB/PRPersonal Best/Personal Record, 개인 최고 기록
                    스플릿구간별 기록
                    네거티브 스플릿후반부를 더 빠르게 달리는 페이스 배분
                    포지티브 스플릿전반부를 더 빠르게 달리는 페이스 배분
                    이븐 스플릿전/후반부를 비슷한 페이스로 달리는 것
                    로킬Local + Kill, 지역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내는 것
                    디엔에프(DNF)Did Not Finish, 완주 실패
                    디엔에스(DNS)Did Not Start, 출발 실패

                    2. 페이스 관련 용어

                    용어설명
                    이브닝 페이스편안하게 대화하면서 달릴 수 있는 속도
                    레이스 페이스실제 대회에서 목표로 하는 속도
                    음페음수(음료 섭취) 페이스의 줄임말
                    킬로페이스1km를 달리는데 걸리는 시간
                    미닛/마일1마일(1.609km)를 달리는데 걸리는 시간
                    5분대1km를 5분대에 달리는 페이스
                    6분대1km를 6분대에 달리는 페이스
                    서브3 페이스km당 4분 15초 정도의 페이스
                    서브4 페이스km당 5분 40초 정도의 페이스
                    페이스메이커목표 페이스를 이끌어주는 러너

                    3. 훈련 관련 용어

                    용어설명
                    LSDLong Slow Distance, 천천히 오래 달리기
                    인터벌고강도와 저강도를 번갈아가며 하는 훈련
                    템포런레이스 페이스보다 약간 빠른 속도로 하는 훈련
                    페이서목표 기록 달성을 위해 일정 속도를 유지하며 이끄는 러너
                    퀄파Qualification Pace, 특정 대회 참가 자격을 위한 목표 페이스
                    테이퍼대회 전 훈련량을 줄이는 것
                    업힐오르막 구간
                    다운힐내리막 구간
                    크루런러닝 크루와 함께하는 러닝
                    번개런갑자기 약속된 러닝 모임
                    플로깅조깅하면서 쓰레기를 줍는 활동

                    4. 컨디션/상태 관련 용어

                    용어설명
                    히트더위로 인한 체력 저하 현상
                    본능샷갑자기 찾아오는 체력 고갈 현상
                    세컨드 윈드힘들었다가 갑자기 컨디션이 회복되는 현상
                    러너스 하이달리기 중 느끼는 행복감이나 황홀감
                    윗몸달리기상체가 흔들리는 잘못된 러닝폼
                    벽치기35km 지점에서 극도의 피로를 겪는 현상
                    애프터번레이스 후 근육통

                    5. 장비/용품 관련 용어

                    용어설명
                    제로드롭신발의 앞굽과 뒷굽 차이가 없는 상태
                    드롭신발의 뒷굽과 앞굽의 높이 차이
                    게이터신발 안으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장비
                    풀세트러닝 시계, 러닝화, 의류 등을 모두 갖춘 상태
                    쿠셔닝화쿠션이 많은 러닝화
                    레이싱화경기용 가벼운 러닝화
                    번아웃신발의 쿠션이 닳아 수명이 다한 상태
                    하이드레이션수분 보충용 장비(벨트, 백팩 등)
                    폼롤러근육을 풀어주는 도구/운동 방법

                    6. 대회 관련 용어

                    용어설명
                    완주증완주 메달 또는 완주 증명서
                    건백건강한 백마라톤 완주자
                    패킹대회 전날 필요한 물품들을 준비하는 것
                    컷오프제한시간 내 통과해야 하는 중간 지점의 기준 시간

                    7. 거리/구간 관련 용어

                    용어설명
                    42.195km정식 마라톤 풀코스 거리
                    하프21.0975km를 달리는 하프마라톤
                    35K 지점일명 ‘마라톤의 벽’이라 불리는 구간

                    8. 러너 레벨/유형 관련 용어

                    용어설명
                    엘리트 러너상위 수준의 기록을 보유한 선수
                    서브쓰리러서브3를 달성한 러너
                    완주러완주를 목표로 하는 러너
                    첫풀러처음으로 풀코스에 도전하는 러너
                    고수러숙련된 러너를 지칭
                    달린이달리기 입문자를 의미 (달리기 + 어린이)
                    러블리러닝과 블로깅을 함께하는 러너
                    러친/달친러닝/달리기 친구

                    9. 러닝 생활/문화 관련 용어

                    용어설명
                    모닝런아침에 하는 러닝
                    퇴근런퇴근 후 하는 러닝
                    런데이러닝하는 날
                    런지도러닝한 기록을 지도로 표시한 것
                    런스타그램러닝 관련 인스타그램 활동
                    인증샷러닝 완료 후 찍는 인증 사진
                    러닝크루함께 뛰는 러닝 동호회
                    러닝마라톤마라톤 용어서브3스플릿

                    댓글

                    댓글 쓰기